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조선시대의 서울

  • 홈 >
  • 전시마당 >
  • 조선시대의 서울
대한민국의 이전 국가인 조선의 서울, 한양을 보여주는 공간입니다.
지금의 서울이 조선시대에는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조선시대의 서울 전시를 통해 한양 도성안의 공간과 그 속에서 살았던 서울 사람들의 삶의 모습들에 대해 하나 하나 알아가 볼 수 있는 시간을 보내 보세요.
  • 수도 한양의 건설
    수도 한양의 건설
    1394년, 조선왕조의 중심지인 수도 한양이  건설되었습니다. 수도 한양의 중심에는 임금님이 살았던 궁궐과 신하들이 나랏일을 논의하던 관청들, 국가제사를 지내는 종묘와 사직이 있었습니다. 수도 한양의 중심부는 산과 도성이 사방으로 둘러싸여 있어,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수도를 안전하게 지킬 수 있었습니다.
  • 넉넉한 마을, 북촌
    넉넉한 마을, 북촌
    창덕궁과 경복궁 사이에 있는 북촌은 서울 양반들의 중심 터전이었습니다. 특히나 한양에서 대대로 부귀를 누리며 살았던 양반들이 이곳 북촌에 어울려 살았습니다.  뒤로는 백악산과 인왕산이 있고, 앞으로는 청계천이 내다보이는 북촌은 경치도 매우 뛰어났어요.. 때문에 북촌 양반들은 경치 좋은 산기슭에 정자를 짓고 문학과 예술을 꽃피울 수 있었습니다.
  • 국가의 중추, 육조거리
    한양의 주요 관청들이 나란히, 육조거리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 앞의 대로를 육조거리라고 합니다. 육조거리에는 한양의 주요 관청들이 모여 있었어요. 육조거리의 동쪽에는 의정부, 이조, 한성부, 호조, 기로소가 있었어요. 서쪽에는 예조, 사헌부, 병조, 형조, 공조가 나란히 들어섰습니다. 육조거리는 한양의 대표적인 관청 거리로 임금의 명령이 나가고, 백성들의 소원이 들어오는 통로이자 많은 이야기드이 모이고 퍼져나가는 광장이었습니다.
  • 조선 제일의 번화가, 운종가
    한양에서 가장 번화했던 운종가
    운종가는 흥인문(동대문)과 돈의문(서대문)을 가로지르는 동서대로에 있었습니다. 한자로 구름운, 좇을 종, 거리 가, 운종가는 사람들이 구름처럼 모였다 흩어지는 거리라는 뜻으로 한양에서 제일 번화했던 거리입니다. 운종가는 양쪽으로는 국가에서 지은 시전이 있어서 서울의 대표적인 상점가가 되었습니다. 시전은 나라에 세금을 내고 장사를 했던 상점으로 상인들은 딱 한 가지 종류의 물건만 독점하여 판매할 수 있었다고 해요.
  • 전문직의 마을, 중촌
    전문직의 마을, 중촌
    중촌은 지금의 청계천과 종로 일대입니다.
    이곳에는 통역관인 역관, 의사인 의관, 법률가인 율관 등 전문직 관리, 관청에서 근무하는 서리인 경아전, 그리고 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많이 살았습니다.
  • 한양의 기반, 남촌
    한양의 남쪽 마을, 남촌
    남촌은 목멱산[남산] 아래쪽에 자리잡은  마을입니다.
    목멱산을 배경으로 청렴한 관원과 선비들이 이곳 남촌에 이웃하고 있었어요. 다산 정약용 선생을 비롯하여 류성룡, 이순신, 허균 등 조선을 대표하는 인재들이 남촌에 살았다고 해요. 남촌에는 가장 많은 사람들이 출입하는 한양도성의 정문인 남대문도 있는데, 숭례문을 통하여 한양의 조선팔도가 연결되어 있었지요.
  • 도성 밖 한양, 성저십리
    도성 밖 한양, 성저십리
    조선시대에는 한양도성 밖으로 10리에 해당하는 지역을 '성저십리'라 불렀습니다.  조선후기가 되면 한양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여기에 살게 됩니다. 도성 안의 사람들은 농사를 짓지 않고 주로 시장에서 먹을거리를 구입했습니다. 그래서 한양도성 밖에는 농작물을 재배하여 한양도성으로 공금하는 근교농업이 발달하였습니다. 왕십리에는 무를, 청파동에서는 미나리를, 이태원에서는 토란을, 그리고 연희동 부근에서는 고추와 부추를 재배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