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유물 검색

> 유물 > 소장유물정보 > 소장유물 검색

인쇄 공유하기
조선 역대 국왕의 업적을 모아 편년체로 기술한 사서로, 왕도정치를 위한 '제왕지학'의 근본으로 삼고자 꾸준히 편찬하였다. 채제공이 편집을 맡아 간행하였으며 내사본(內賜本)으로 규장각에서 편찬하였다.
국조보감의 편찬을 최초로 구상한 것은 세종 때이다. 이 때 정치에 모범이 될 만한 일들을 모아 후세의 귀감(龜鑑)으로 삼기 위해 태조·태종보감을 편찬하도록 했으나 완성하지 못하였다.
그 뒤 세조가 이를 계승해 1457년(세조 3)에 수찬청(修纂廳)을 두고 신숙주(申叔舟)와 권람(權擥) 등에게 명해 태조·태종·세종·문종 4조의 보감을 처음으로 완성하였다.
이후 숙종 때 이단하(李端夏)에게 명해 1684년(숙종 10) 선묘보감(宣廟寶鑑) 10권을 완성하였는데, 이는 선조 1대의 사적을 엮은 것이다. 또, 1730년(영조 6) 찬집청(纂輯廳)을 설치하고 숙종 1대의 사적을 찬집, 숙묘보감(肅廟寶鑑) 15권을 완성하였다. 이어서 1782년(정조 6)에는 정종·단종·세조·예종·성종·중종·인종·명종·인조·효종·현종·경종·영조 등 13조의 보감을 찬수하였다. 이를 앞의 세 보감과 합해 국조보감 68권 19책을 완성하였다.

공공누리

서울역사박물관이 창작한 국조보감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용자는 저작물 이용조건을 준수하여야 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 이용 허락이 종료됩니다.
(출처표시 예 :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서울역사박물관 SNS